로 시작하는 세 글자의 단어: 42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33개 🍹세 글자: 426개 네 글자:629개 다섯 글자:304개 여섯 글자 이상:382개 모든 글자:1,975개

  • 가서 : (1)의학에 관한 책.
  • 거리 : (1)거리 공간에서 거리의 공리를 완화하여, 다른 두 점에서도 거리가 0이 될 수 있도록 도입한 거리.
  • 거민 : (1)의거를 일으킨 민중.
  • 거병 : (1)의거를 일으킨 병사나 군대.
  • 거일 : (1)정의를 위하여 개인이나 집단이 의로운 일을 도모한 날.
  • 거자 : (1)정의를 위하여 의로운 일을 도모하는 사람.
  • 건모 : (1)‘의건모하다’의 어근.
  • 걸이 : (1)위는 옷을 걸 수 있고, 아래는 반닫이로 된 장.
  • 견란 : (1)의견을 적는 난.
  • 견사 : (1)목화, 아교, 단백질 따위를 진한 수산화 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천연견사와 같은 광택이 나게 한 실.
  • 견서 : (1)어떤 의견을 적은 글이나 문서.
  • 결권 : (1)주주가 자신의 의사 표시를 통하여 주주 총회의 공동 의사 결정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 주주 평등의 원칙에 따라 한 개의 주마다 한 개의 의결권이 주어진다. (2)의결 기관이 회의를 열어 어떤 사항을 의결할 수 있는 권리.
  • 결서 : (1)의결한 내용을 적어 놓은 문서.
  • 경대 : (1)1930년 5월에 중국 상하이에서 <의경대 조례(義警隊條例)>에 의거하여 교민단의 경호를 목적으로 결성된 경찰 기구. 1932년 8월 병인 의용대 대장 박창세(朴昌世)가 제3대 의경대장에 임명되면서 밀정 처단 활동에 나서기도 하였다.
  • 고문 : (1)‘의고문하다’의 어근. (2)옛 문장을 본떠 지은 글.
  • 고법 : (1)예스러운 표현이나 문체.
  • 고체 : (1)예스러운 표현이나 문체.
  • 공학 : (1)의학상의 문제에 공학적 방법을 응용하는 일. 심장의 인공 판막(瓣膜), 맹인용(盲人用)의 각종 센서, 자동 의수(義手)ㆍ의족(義足) 따위의 보조구의 개발이 대표적인 예이다.
  • 과대 : (1)의학을 전공하는 단과 대학.
  • 관객 : (1)옷갓을 단정히 차린 사람.
  • 굉창 : (1)의장의 하나.
  • 구감 : (1)의심스럽고 두려운 느낌.
  • 구심 : (1)믿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마음.
  • 구총 : (1)주인에게 충성을 바친 개의 무덤.
  • 구히 : (1)옛날 그대로 변함이 없이.
  • 국수 : (1)이름난 의사.
  • 군단 : (1)1919년에, 만주에서 조직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 방위룡(方渭龍)을 주축으로 무장 활동을 벌였고, 1920년에는 청산리 전투에 참여하였다. 자유시 참변을 겪고 해산하였다.
  • 군부 : (1)1919년 4월 만주 북간도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독립운동 단체. 종래 국내에서 활동하던 의병들이 만주 각지에 흩어져 있다가 1919년 3ㆍ1 운동에 자극을 받아 옌지시(延吉市) 밍웨거우(明月溝)에서 이범윤, 진학신(秦學新), 최우익(崔友翼) 등이 주동이 되어 조직하였다. (2)1922년에 만주 환런 만족 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독립운동 단체. 통의부의 직제나 인물 배치에 불만을 품은 군민(軍民) 대표가 국내의 일본 기관의 파괴를 목적으로 조직하였으나 1923년에서 1924년에 다른 운동 단체에 흡수ㆍ통합되었다.
  • 궤도 : (1)궁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의식 행사의 내용을 기록한 의궤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 그 : (1)에게.
  • 금부 : (1)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태종 14년(1414)에 의용순금사를 고친 것으로 왕족의 범죄, 반역죄ㆍ모역죄 따위의 대죄(大罪), 부조(父祖)에 대한 죄, 강상죄(綱常罪), 사헌부가 논핵(論劾)한 사건, 이(理)ㆍ원리(原理)의 조관(朝官)의 죄 따위를 다루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의금사로 고쳤다.
  • 금사 : (1)조선 시대에, 법무아문에 속하여 상소(上訴) 재판을 맡아보던 관아. 고종 31년(1894)에 의금부를 고친 것으로, 이듬해 고등 재판소로 고쳤다.
  • 금지 : (1)금박을 입힌 종이.
  • 나무 : (1)산유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심장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뒷면은 흰색을 띤다. 5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또는 원추(圓錐)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11월에 붉게 익는다. 세공재로 쓰고 정원수로 재배한다. 한국의 전라도,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난처 : (1)의심이 나는 곳.
  • 남매 : (1)의로 맺은 남매. (2)아버지나 어머니가 서로 다른 남매.
  • 남초 : (1)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좁고 길다. 여름에 잎 사이에서 나온, 1미터 정도의 긴 꽃줄기 끝에 백합 비슷한 등황색 꽃이 핀다. 어린잎과 꽃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논조 : (1)의논하는 말투.
  • 당당 : (1)‘의당’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당사 : (1)마땅한 일. (2)예전에, 관아의 명령문 끝에 쓰던 문투로 그대로 마땅히 실행하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당히 : (1)사물의 이치에 따라 마땅히.
  • 대병 : (1)옷을 입으면 견디지 못하는 병.
  • 대생 : (1)의과 대학에 다니는 학생.
  • 대장 : (1)궁중에서, ‘옷장’을 이르던 말. (2)죽은 사람의 혼을 불러들여 지내는 장례. 시신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생시에 입던 의복 따위를 가지고 장례를 치른다.
  • 대차 : (1)궁중에서, ‘옷감’을 이르던 말.
  • 도성 : (1)무엇을 하고자 생각하거나 계획하는 성질. 또는 무엇을 하려고 꾀하는 성질. (2)텍스트성의 기준들 중 하나로, 메시지를 통하여 정보 전달이나 의견 제시 등 구체적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을 나타내는 것. 텍스트에 사용된 각종 발화 도구 혹은 발화체들이 발화자가 원하는 지식을 제공한다든가, 계획대로 목표를 달성한다든가 등의 의도를 충족시키면 의도성을 갖춘 것이다.
  • 도적 : (1)무엇을 하려고 꾀하는. 또는 그런 것.
  • 도형 : (1)어떤 의도, 희망을 나타내는 연결법의 활용형. ‘-려’, ‘-고자’ 따위가 있다.
  • 돌다 : (1)‘에돌다’의 방언
  • 동생 : (1)의리로 맺은 동생.
  • 득청 : (1)조선 중종 때, 신하들이 의논을 할 때 모이던 임시 장소. 변란으로 대궐에 모여 의논하기 힘들어지자, 원각사에 모여 의논을 하였다.
  • 라왕 : (1)부여의 왕(?~?). 285년 선비족(鮮卑族)의 모용외(慕容廆)가 부여를 침입하였을 때 자살한 의려왕(依慮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국토를 수복하기 위하여 중국 진(晉)나라의 동이교위(東夷校尉)인 하감(何龕)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부여를 수복할 수 있었다. 재위 기간은 286년~?이다.
  • 려왕 : (1)부여의 왕(?~285). 마여왕의 아들이며, 위(魏)와 진(晉)이 교체되자 진나라와 외교를 돈독히 하는 정책을 펼쳤다. 285년에 선비족(鮮卑族)의 ‘모용외’가 부여로 쳐들어왔을 때 막아 내지 못하고 자결하였다.
  • 령군 : (1)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군. 높고 낮은 산으로 되어 있으며, 특산물로 한지가 유명하다. 명승지로 수도사(修道寺), 벽화산성(碧華山城), 보덕각(報德閣)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의령, 면적은 482.9㎢.
  • 례건 : (1)전례나 관례에 비추어 있어 온 일.
  • 례론 : (1)어떤 행사를 치르는 법식이나 정해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의 이치를 논리적으로 일반화한 체계.
  • 례복 : (1)의례를 거행할 때에 입는 옷.
  • 례성 : (1)일정한 법식이나 방식에 따라 일이 치러지는 성질.
  • 례수 : (1)우리나라 고유의 순장 바둑에서, 지금의 정석(定石)에 해당하는 수를 이르는 말.
  • 례용 : (1)의례를 치르는 데 씀. 또는 그런 것.
  • 례적 : (1)의례에 맞는. 또는 그런 것. (2)형식이나 격식만을 갖춘. 또는 그런 것.
  • 례화 : (1)어떤 행사를 치르는 법식이나 정해진 방식을 그대로 고집하여 그것이 굳어지는 일.
  • 례히 : (1)전례에 의하여.
  • 로이 : (1)정의를 위한 의기가 있게.
  • 롭다 : (1)정의를 위한 의기가 있다.
  • 뢰서 : (1)어떤 일을 남에게 부탁하는 내용을 적은 글.
  • 뢰심 : (1)남을 믿고 의지하는 마음.
  • 뢰율 : (1)일 처리나 사건 해결 따위를 남에게 부탁하는 비율.
  • 뢰인 : (1)남에게 어떤 일을 맡긴 사람.
  • 뢰자 : (1)남에게 어떤 일을 맡긴 사람.
  • 료계 : (1)병을 치료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 료권 : (1)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
  • 료기 : (1)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기구.
  • 료단 : (1)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임시로 조직된 단체.
  • 료대 : (1)의료 사업을 위하여 조직된 무리.
  • 료망 : (1)의료 기관들이 배치된 체계.
  • 료법 : (1)국민 의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 의료의 적정(適正)을 기하여 국민 건강의 보호 증진을 목적으로 하며 의료 기관의 개설 및 시설 기준, 의료에 대한 과대 광고의 금지, 감독 따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 료비 : (1)병을 치료하는 데 드는 돈.
  • 료사 : (1)의료의 기원 및 변천과 발달에 관한 역사.
  • 료실 : (1)의술로 병을 고치기 위하여 마련한 방.
  • 료업 : (1)의술로써 병을 고치는 직업.
  • 료용 : (1)의술로 병을 고치는 데 씀. 또는 그런 것.
  • 료원 : (1)의술로 환자를 진찰, 치료하는 데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놓은 곳.
  • 료인 : (1)병을 치료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
  • 료적 : (1)의술로 병을 고치는. 또는 그런 것.
  • 료직 : (1)의료 분야의 직무. 또는 그 분야에 종사하는 직원.
  • 료진 : (1)의료 부문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들의 진영 또는 능력.
  • 료 팀 : (1)의술로 병을 고칠 목적으로 구성한 팀.
  • 료품 : (1)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물품.
  • 료화 : (1)의료 체계 안에 포함되거나 의료 행위로 다루어지게 됨. 또는 그렇게 함.
  • 룹다 : (1)‘의롭다’의 방언
  • 류계 : (1)의류를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나 영역.
  • 류대 : (1)군대 따위에서 옷을 나르는 용도로 사용하는 큰 가방이나 자루.
  • 류사 : (1)의류를 만드는 회사.
  • 류업 : (1)의류의 생산과 유통을 전문적으로 하는 산업.
  • 류용 : (1)옷을 만드는 데 쓰임. 또는 그런 것.
  • 류점 : (1)옷을 파는 가게.
  • 류품 : (1)의류에 속하는 물품.
  • 류학 : (1)의생활 전반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의복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 작용을 연구한다.
  • 리감 : (1)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지키려는 마음. (2)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바른 도리를 지키려는 마음.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의로 끝나는 단어 (4,030개) : 환경 제국주의, 토마스주의, 궁의, 무끼상의, 상업적 자유주의, 흰줄매화지의, 웅의, 맹신주의, 소연방 최고 회의 간부 회의, 군의, 탈권위주의, 예산주의, 완의, 교식의, 표상주의, 트로파우 회의, 진보주의, 대구주의, 연한끈지의, 노사 자치주의, 법정 순서주의, 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 직접 심리주의, 싫존주의, 집단의 다원주의, 체발염의, 이슬란드지의, 공감 자본주의, 협의, 윤의 ...
의로 끝나는 단어는 4,03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의로 시작하는 세 글자 단어는 42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